[DB2] Docker를 이용한 DB2 설치방법
: 모의해킹을 진행하다보면, 중요 전산망에, MAIN DB로 IBM DB2를 사용하는 기업들이 존재한다.
Oracle을 사용하는 기업이 가장 많지만, 유지보수에 대한 금액적인 문제가 많아 기업의 입장에서는 서버를 구매하면 딸려오는 DB2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거 같기도 하다. 쿼리의 구조가 다른 부분이 존재하여 범용성은 줄어들지만 퍼포먼스 적인 측면에서는 나쁘지 않다는 말이 들린다. 이야기가 길었다.
이번 글에서는 Docker를 사용하여 DB2 환경을 구성하는 방법을 알아보며,
다음 글에서는 DB2의 쿼리에 대해 알아보자.
___How to install
1. Docker 설치
Step 1) 다운로드가 유효한지 확인하기 위해 Docker 저장소의 GPG 키를 시스템에 추가
curl -fsSL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gpg | sudo apt-key add- |
Step 2) Docker 저장소를 APT 소스에 추가
sudo add-apt-repository "deb [arch=amd64] https://download.docker.com/linux/ubuntu $(lsb_release -cs) stable" |
Step 3) 새로 추가된 저장소에서 Docker 패키지로 패키지 모듈 업데이트
sudo apt-get update |
Step 4) Docker 설치
sudo apt-get install -y docker-ce |
Step 5) Docker 상태 확인
sudo systemctl status docker |
2. DB2 설치
Step 1)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DB2 설치를 진행하자.
sudo docker run -itd — name db2 — privileged = true -p 50000 : 50000 -e LICENSE = accept -e DB2INST1_PASSWORD = db2inst1 -e DBNAME = test -v / home / ubuntu / DB2 : / database ibmcom / db2 |
Step 2)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Docker Container의 상태를 확인해보자.
doker ps -a |
Step 3)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 Container의 Shell을 실행시키자.
docker exec -i -t db2 /bin/bash |
Step 4) DB2 는 Shell의 계정과 DB2의 계정이 같아야한다.
먼저, DB2의 계정인 db2inst1로 변경해주고, db2start 명령어를 통해 db2를 실행하자.
docker exec -i -t db2 /bin/bash |
Step 5) create database 명령어를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생성하자.
또한, 생성된 데이터베이스에 db2inst1 계정을 연결해주자.
db2 create database test7 db2 connect to test7 user db2inst1 using db2inst1 |
Step 6) db2 명령어를 이용해서 콘솔에 직접 붙어서 쿼리를 사용가능하기도 하고, db2 [Query] 명령어를 통해 쿼리를 사용가능하기도 하다.
list database directory 명령어를 사용해 디렉토리 목록을 확인해보자.
해당 명령어는 MySQL에서 show database와 동일하다.
db2 list database directory |
Reference.
[DB2] 사용자 생성 및 권한부여 (0) | 2020.04.16 |
---|---|
[DB2] DB2 쿼리 연습 (0) | 2020.04.16 |
[ORACLE] DB 직접 접속 가능할 경우 원하는 컬럼명 조회해보기 (0) | 2018.12.08 |